각각의 무형문화유산은 단일 표현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유산들은 복수 영역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속 의식은 전통 음악과 무용, 기도와 노래, 복식, 성물(聖物), 의례, 의식적 관습, 그리고 자연에 대한 예리한 인식과 지식 등과 관련될 수 있다.
공연예술
공연 예술에는 음악(성악, 기악), 무용, 연극, 운문의 낭송, 무언극 등이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 창의성을 반영하는 수많은 문화적 표현물들이 포함되는데, 공연 예술은 어느 정도는 여러 가지 다른 무형문화유산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음악은 가장 보편적인 공연 예술이며 모든 사회에 존재하고 있다. 흔히 다른 공연 예술 형식이나 의례, 축제 행사, 구전 전통 등 여러 무형문화유산 영역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것은 성(聖)/속(俗), 고전적/대중적, 일과의 관련성/오락과의 관련성 등을 막론하고 가장 다양한 맥락에서 발견된다. 음악의 정치적·경제적 차원도 있을 수 있다. 이는 공동체의 역사를 노래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을 찬양하며, 경제 활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음악은 결혼식, 장례식, 의례, 관례(冠禮), 축제, 모든 종류의 오락, 많은 사회적 기능 등 다양한 상황에서 부르고 연주한다.
춤은 매우 복잡한 형태의 공연 예술이나, 간단하게 말하면, 질서 있는 신체의 움직임으로서 보통 음악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묘사할 수 있다. 그 물리적 측면과는 별도로 리듬감 있는 움직임, 발 동작, 몸짓은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하고 종교 무용이나 사냥, 전쟁, 성적 행위 등 특별한 행사나 일상 활동을 나타낸다.
전통극 공연은 보통 동작, 노래, 춤, 음악, 대화, 대사등을 결합하지만, 인형극이나 무언극을 포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은 단순히 관객을 위한 공연 이상의 의미가 있다. 농사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나 의례에서 사용되는 음악 등과 같이 문화나 사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좀더 친밀한 분위기에서 아기를 재우기 위해 부르는 자장가도 있다.
도구, 물건, 인공물, 문화적 표현과 관습에 관련된 공간들은 협약의 무형문화유산 정의에 포함된다. 공연예술에서는 악기, 가면, 의복, 무용에 사용되는 다른 장식품, 그리고 연극의 장면과 소품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공연 예술은 흔히 특정한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어떤 공간이 공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때 협약은 이런 공간을 문화 공간으로 인정한다.
오늘날 상당수의 공연 예술이 위험에 처해 있다. 문화적 관습이 표준화됨에 따라 많은 전통 관습들을 포기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문화적 관습들이 널리 알려진 곳에서도 일부 특정 표현물만 인기를 누리고 있을 뿐, 그 밖의 표현물들은 존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중적인 관심이 폭발적인 '세계음악(World Music)'은 음악의 이러한 어려움을 보여주는 가장 적합한 사례이다. 음악은 문화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전통적인 예술 장면을 풍부하게 하는 창의성을 촉진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문제를 낳을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의 음악은 일정한 결과물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획일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정 공동체의 공연과 전통 과정에 중요한 음악 활동이 차지할 공간은 없다.
음악, 무용, 연극은 흔히 관광객을 유치하며 순회 가극단 공연에 등장해서 문화 진흥의 핵심 요소가 되고있다. 공연 예술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나라와 공동체의 수입을 창출하며 문화의 창 역할을 하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공연 예술을 선보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공연 예술은 관광 시장의 요구에 맞춰 변화를 겪어 왔다. 관광은 전통적인 공연 예술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하고 무형문화유산에 시장 가치를 부여할 수 있지만, 관광객의 수요에 맞게 각색한 일부 주요 장면만을 보여주는 데 그치기 때문에 유산의 의미를 왜곡해 전달할 수 있다. 전통적인 예술은 오락이라는 이름으로 공동체 표현의 중요한 형식을 상실한 채 상품으로 변모하기도 한다.
한편, 광범위한 사회적·환경적 요소는 공연 예술 전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림 파괴는 공동체가 음악 활동을 하는 데 사용하는 전통악기를 만들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상당수의 음악 전통이 기록이나 교육 목적으로 서구의 악보 형식에 맞게 변형되는 일이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파괴적일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음악은 표준적인 서구 형태와는 일치하지 않는 음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악보로 옮기는 과정에서 음정이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음악의 동질화 뿐만 아니라 현악기에 프렛(fret)을 사용하는 등 학생들이 좀더 쉽게 연주하도록 전통 악기를 변형하기 때문에 악기 자체도 크게 변형된다.
전통 공연 예술의 보호 조치들은 주로 지식과 기술, 악기 연주, 악기 제작 기술의 전수와 사제간의 유대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노래의 미묘한 차이, 춤 동작, 다양한 연극적 해석이 모두 강화되어야 한다.
공연은 연구, 기록, 목록화, 보관 되어야 한다. 전 세계에는 백년이 넘는 음성 기록들이 무수하게 존재한다. 이처럼 오래된 기록은 보존 상태가 열악해 디지털화하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질 수 있다. 이를 디지털화 함으로써 기록을 적절하게 유산으로 지정하고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문화 매체, 제도, 산업은 관객을 불러 모으고 대중 사이의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전통 공연예술의 생명력을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관객은 표현 형식의 여러 측면에 대한 설명을 듣고 새롭고 광범위한 인기를 얻도록 하고, 예술 형태에 대한 지역적 변형들에 대한 관심을 통해 공연 자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끈다.
또한 보호는 광범위한 공연 예술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스태프와 제도를 준비하기 위한 적절한 훈련과 하부구조를 개선하는 것과도 관련 있다. 그루지아에서는 학생들에게 인류학 현장조사 방법과 다성악 기록 방법을 훈련시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국가 목록의 기초를 다질 수 있었다.
-
브라질 바이아 레콘카보의 삼바 데 로다(Samba de Roda of Reconcavo of Bahia)는 아프리카 출신 노예의 무용과 문화전통에서 비롯되었으나 포르투갈의 문화요소, 특히 언어와 시 형식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20세기 브라질 민족 정체성의 상징이 된 도시 삼바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산스크리트어 연극인 쿠티야탐(Kutiyattam)은 인도의 가장 오래된 전통 중 하나로 산스크리트 고전주의와 케랄라(Kelala) 지역 전통을 종합한 것이다. 등장 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몸짓과 눈짓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양식화되고 규범화된 극언어이다. 전통적으로 사원과 같이 신성한 공간에서 연행되는 쿠티야탐 공연에는 항상 무대에 신의 존재를 상징하는 등잔이 놓인다.
-
필리핀 이푸가오 (Ifugao) 족의 후드후드 (Hudhud)는 파종기, 수확기, 장례 때 행해진다. 흔히 나이 많은 여성들이 며칠씩 걸려 완창하기도 하는데, 이 여성들은 공동체에서 역사가나 설교가 역할을 한다.
-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사례처럼 학생이 숙련된 연행자와 함께 일하는 명인과 함께 하는 수업이 기니의 소쏘 발라(Sosso Bala)와 부탄의 다에체가면극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무감 기록물이 미래 세대 음악인들의 영감, 훈련, 지식의 원천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립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다.
-
쿠바의 경우와 같이, 학교에서 무형문화유산을 가르침으로써 전승 활동을 강화할 수 있다. 쿠바의 학교에서는 툼바 프랑세사(Tumba Francesa)를 아이들에게 가르친다.
-
에티오피아에서는 전 지역에서 전통 음악, 무용, 악기 등을 수집하고 대학에서 민족음악학(ethnomusicology)분야의 교육 과정을 수립하기 위한 야심찬 연구와 훈련사업이 진행 중이다.